Code Formatter

Dev Tools/코드 포맷터 2008. 3. 10. 14:36

Code Formatter는 비주얼 스튜디오와 같은 IDE에서 코드를 MS 워드나 웹 페이지 등에 붙여 넣을 때 줄 번호를 추가하고 코드의 포맷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 툴입니다.

이론적으로는 비주얼 스튜디오 외의 다른 IDE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테스트는 비주얼 스튜디오와 MS 워드 환경에서만 수행하였습니다. 다른 환경에서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C# 코딩 연습 시리즈' 라는 졸렬하나마 몇 줄 글을 써다 보니,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워드로 코드를 복사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이 복사가 제 욕심만큼 되지 않았습니다. 서식도 다소 이상해지지만, 특히 줄 번호를 추가되지 않아서 매번 수동으로 줄 번호를 매겨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워드의 매크로나 VSTO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으나, 저는 간단한 툴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바로 Code Formatter라는 유치한 이름의 툴입니다.

이 툴이 필요한 문제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비주얼 스튜디오에 있는 아래 코드를 복사하여 워드나 블로그에 붙여 넣는다고 합시다.

이를 복사하여 워드에서 붙여 넣으면 이런 모양이 됩니다.

첫 줄의 띄어쓰기가 맞지 않으며, 줄 번호는 매 줄 마다 수동으로 추가를 하여야 합니다.

이에 반해 위 비주얼 스튜디오의 코드를 Code Formatter에서 포맷팅을 한 후 워드에 붙여 넣은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블로그 등에 붙여넣는 것도 동일합니다.)

(워드에서 붙여 넣기를 하면 기본 스타일인 표준 스타일이 적용되는데, 위 그림은 표준 스타일에서 단락 앞/뒤 간격을 줄이고 폰트를 조절한 상태입니다. 이 서식을 새로운 스타일로 등록해 두면 편리합니다.)

Code Formatter의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아래 URL에서 Code Formatter를 설치합니다.

http://kimgwajang.dnip.net/DevTools.CodeFormatter/publish.htm

옵션 패널에서 몇 가지 옵션을 설정한 후 Format 버튼을 클릭하면 코드 패널에 포맷팅된 결과가 나옵니다. 이를 복사하여 워드 등에서 붙여 넣으시면 됩니다.

각 옵션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줄번호 자리수

줄 번호의 자리수를 지정합니다. 아래 두 그림은 각각 줄번호 자리수를 2와 3으로 지정한 결과입니다.

'없음'은 줄 번호를 추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자동'은 코드의 줄 수에 따라 자리수가 자동으로 정해진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줄 수가 10 ~ 99 사이라면 줄번호 자리수는 2가 됩니다.

줄번호 구분자

줄 번호와 코드 사이를 스페이스로 채울지 탭으로 채울지를 설정합니다.

소스

포맷팅의 소스를 지정합니다. '텍스트박스'는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소스 패널에 입력된 코드를 소스로 하여 포맷팅을 합니다. 반면에 '클립보드'는 현재 클립보드에 저장된 내용을 소스로 하여 포맷팅을 합니다. 따라서 '소스'일 경우에는 클립보드에 유효한 텍스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야 합니다.

포맷팅 후 클립보드로 복사

포맷팅된 코드는 코드 패널에 보입니다. 이를 클립보드로도 자동 복사할 수도 있습니다.

기존 클립보드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이 사라지므로, 주의 깊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